본문 바로가기
마음공부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사람

by 구름24 2023. 10. 1.

대부분의 사람은 칭찬받고 싶어 하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을 원합니다. 그러나 이를 얻기 위해서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행위가 종종 보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무엇을 바라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사람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칭찬의 순수성과 칭찬 유도

칭찬은 보통 다른 사람들로부터 오는 긍정적인 평가입니다. 이러한 평가는 우리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불어넣어 줍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평가를 얻기 위해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행위를 택합니다. 이런 행동의 배경에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숨겨진 불안과 자아 이미지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사람들은 종종 내적으로 불안하거나 자아 이미지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의 불안한 면을 감추고, 그러한 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얻으려고 합니다. 이는 불안한 자아를 타인의 인정을

통해 안정시키는 것이기에 왜곡된 자아를 지니게 될 수 있습니다.

 

자신에 대한 지나친 기대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려는 사람들은 종종 자신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기 능력과 성과를 현실보다 높게 기대하며, 자신이 일반적인 수준보다 뛰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타인의 평가에 민감

이들은 종종 타인의 평가에 상당히 민감합니다. 칭찬을 받지 못하거나 비판을 받을 경우,

심리적으로 상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민감성은 자신을 칭찬받기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매력을 보이려는 원동력이 됩니다.

 

문제점

칭찬의 진실성과 객관성 상실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사람들은 종종 칭찬의 진실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행동은 자신을 둘러싼 사람들과의 신뢰를 약화시키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데 어려움을 줍니다.

내적 충돌

종종 내적으로 불안과 충돌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자기를 지속해서 속이고, 불안정한 자아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정신적 에너지를 소모하며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안

겸손

겸손은 자기를 인정하면서도 자기를 과대평가하지 않는 태도입니다.

겸손한 사람들은 자신의 장단점을 솔직하게 평가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이해를 지향합니다.

 

진실된 자아 

우리는 모두 가끔은 자신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한 자아 평가는 우리를 현실에서 멀어지게 할 뿐입니다.

 

진실된 자아를 찾아 자신을 받아들이고 개선하려는 노력은 성장과 성숙을 향한 첫걸음입니다.

진실된 자아를 갖게 되면, 불필요한 억압과 거짓말에서 해방됩니다.

진실된 자아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며 자신에게

객관적이고 솔직하게 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견해

타인의 칭찬을 유도하는 행위는

상황이 어떠냐에 따라 기만이라 표현할 수도 있고

자신이 원하는 말을 듣기 위해 타인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가 지나치다면 그것은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행위이다.

 

보통 불안정한 자아를 가지고 있다

타인에 의한 것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자신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뭔가를 기대하게 되면 실망하기 마련이다.

외모, 돈, 능력에 의한 것이 아닌

겸허하게 그냥 있는 그대로 모습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인생 대충 살아도 상관없는 이유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종종 "왜 더 열심히 살아야 하는 걸까?"라는 의문을 품기도 합니다. 사회나 가족, 자신에게 어떤 압력을 느낄 때가 있죠. 그러나 이 글에서는 그런 압박감을 떨쳐버리고,

thinkthat.tistory.com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쾌락을 쫓을수록 여유는 사라진다.  (73) 2023.10.03
방 청소부터 해라  (82) 2023.10.02
자신을 낮추지도 높이지도 마라  (87) 2023.09.30
거짓된 경험  (98) 2023.09.29
무너진 사람을 유혹하다.  (130) 2023.09.28